지자체, 요양병원·요양시설 처방 현황 주기적 확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양병원 등에서 코로나19 고위험군에 대한 먹는 치료제 처방이 저조하다며 보다 적극적으로 확진자들에게 투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5일 "요양병원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에게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를 투약하면 중증 진행을 막는데 효과가 있다"면서 "이런 분석에도 불구하고, 6월 18%였던 60세 이상 확진자의 평균투여율이 8월 1주 차에도 18.7%에 머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의 보다 적극적인 처방을 지원하기 위해 처방기관 확대, 의료진 대상 의약품 정보 추가제공 등 여러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우선 코로나19 환자가 보다 쉽게 처방·조제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과목에 관계없이 외래처방이 가능한 병원급 의료기관을 1,000여 개 이상 대폭 확대하고, 조제 가능한 담당약국을 기존 1,082개에서 2,175개까지 확대했다.
또한 먹는 치료제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8월 초에 94.2만 명분(팍스로비드 80만, 라게브리오 14.2만)을 추가구매 계약했다.
특히 팍스로비드 처방 불가 환자 등에게 라게브리오 처방이 늘어날 것을 대비해 8~9월 중 라게브리오 14.2만 명분을 우선적으로 국내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먹는 치료제와 함께 병용 투여하면 안 되는 의약품이 최소 23종에 달하는 등 의료진이 처방을 내리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먹는 치료제를 다수 처방하고 임상적 효과를 경험한 의료진이 직접 참여해 교육 자료와 처방 가이드라인을 제작하는 등 의료현장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중이다.
보건복지부는 "지자체는 고위험군의 중증 진행 예방을 위해 요양병원·요양시설 환자 대상 먹는 치료제 처방 현황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의료기관은 제공되는 정보 등을 참고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처방을 고려해 달라"고 강조했다.
오늘 오전내내 이런일로 아무것도 못하고 무슨 요양병원 직원들이 죄인도 아니고 진짜 해도해도 너무 합니다.
특히 이번처럼 공휴일이 끼면 어디서 검사를 받아서 확진받나요? 해도해도 너무 하는거 아닙니까?
질청은 도대체 누가 이런 말도 안돼는 정책을 하는건지 일선에서 일하는 담당자들은 화가 너무 납니다.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이 있는 병원에서 신속항원검사로 확진을 하면 그건 인정이 되는거지 무슨 전문가용이 필요하며, 무슨 등록허용이 필요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