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병원들이 코로나19 유행 당시 물품, 인력 부족을 경험했고, 자체 비용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했으며, 정부의 손실 보상 수준에 대해서는 불만을 표시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 김기주 부회장은 8일 ‘국내 요양병원의 신종감염병 대응 및 관리체계 개발’ 공청회에서 코로나19 당시 요양병원의 대응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 요양병원 내 최대 유행 상황에서 물품이 부족했는지 묻자 전체 179개 병원 가운데 79%가 경험했다고 답했다.
부족한 물품을 어떻게 해결했느냐는 질문에는 87%가 자체 구매, 72%가 지자체와 국가 지원이라고 복수 응답했다.
코로나18 물품 비용은 요양병원 재정에 부담이 되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물품 관련 비용이 병원 재정에 부담되는 수준이었는지 묻자 5%만 부담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반면 약간 부담이 45%, 상당한 부담이 50%로 집계됐다.
요양병원들은 코로나19가 유행했을 때 대부분 직원, 간병인 인력 부족을 경험했다.
코로나19 유행 당시 직원인력 부족을 경험했느냐는 질문에 약간 부족이 45%, 상당히 부족이 52%를 차지했다. 간병인 역시 약간 부족이 32%, 상당히 부족이 58%나 됐다.
인원 충원 비용은 47%가 자체 해결했다고 답했고, 지자체 지원을 받았다는 대답은 2%에 지나지 않았다.
인원 충원 비용이 병원 재정에 부담되는 수준이었는지 묻자 35%는 약간 부담을, 59%는 상당한 부담이었다고 답했다.
코로나19가 최대 유행했을 때 국가로부터 인력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3%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없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국가로부터 코로나19 대응 관련 비용이나 수가, 손실 보상을 지원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4%가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손실에 대해 어느 정도 보상이 되었냐는 질문에는 7%만 충분히 보상받았다고 답했고, 42%가 손해, 24%가 0~20% 손해, 10%가 20~40% 손해, 9%가 40~60% 손해, 5%가 80~100% 손해였다고 대답했다.
올해 7월부터 시행된 요양병원 감염예방관리료 지급 제도가 신종감염병 대비, 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일부 도움이 되지만 매우 부족하다는 응답이 71%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6%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크게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23%였다.
신종감염병에 대응, 대비하기 위한 요양병원 감염예방관리료 수준을 묻자 10%는 충분하다고 답했지만 17%는 0~50% 인상, 22%는 100% 인상 필요, 22%는 50~100% 인상 필요, 28%는 단순한 인상으로 해결되지 않으므로 전혀 다른 수가체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